카레의 주성분 강황은 커큐민이 풍부해 항염·항암 등 항산화 작용을 하는 대표적 건강식품 중의 하나입니다.
성분은 같지만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강황과 울금을 비교해보고 강황의 효능 및 섭취 시 주의사항 등을 알아봅니다.
강황이란?
생강과의 다년생 뿌리식물에 속하는 허브임.
1. 구성성분
1) 커뮤미노이드 1~6%,
섬유질 2~7%,
단백질 6~8%,
지방 5~10%,
수분 6~13%,
탄수화물 60~70%,
광물 3~7%,
휘발성 오일 3~7%
2) 커뮤미노이드 중
커큐민 70%,
DMC 15%,
BDMC 10%
2. 강황의 유효성분
1) 커큐민으로 폴리페놀의 일종임
2) 핵심 작용 : 항산화, 항염, 항암
강황과 울금의 비교
1. 강황
1) 뿌리줄기 부분으로 따뜻한 성질을 가짐
2) 몸이 차가운 사람이 섭취해야 건강에 도움이 됨
2. 울금
1) 덩이뿌리 부분으로 차가운 성질을 가짐
2)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섭취해야 건강에 도움이 됨
3) 강황의 일본식 발음 표기로 2016년부터 식약처에서 강황으로 통일함
※ 같은 식물의 다른 부위인 강황과 울금!
식물학적으로는 별 차이가 없다
강황의 효능
1. 치매개선
뇌신경 세포의 치유 촉진 효과와 아밀로이드 플라크 제거로 인한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2. 간 기능 개선
알코올 분해, 간의 활성 산소량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여성질환 개선
따뜻한 성질로 생리통과 냉증에 효과적입니다.
4. 관절염 개선
통증을 완화하는 소염효과가 뛰어나고 염증 반응을 억제합니다.
5. 항암효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복합체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6. 위장 개선
소화촉진, 장 운동이 활발해지고 속 쓰림, 배탈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7. 다이어트
담즙의 분비를 촉진해 체지방 분해에 도움을 주고 혈관 속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줍니다.
8. 심장 건강에 도움
혈액 순환이 원활하고 동맥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9. 면역력 증진 효능
10. 혈당 수치 개선 효능
11. 우울증 완화 효능
강황 섭취방법
1. 분말로 섭취하기
강황분말 한 스푼 1/4 정도를 물 또는 우유나 두유 또는 요플레에 꿀과 함께 먹는다.
(하루 섭취량 최대 1~3g)
2. 차로 우려먹거나 시중에 나와있는 티백으로 섭취하기
3. 농축된 형태의 영양제로 섭취하기
4. 1 스푼 정도를 밥할 때 넣어 노란 밥으로 섭취하기
5. 카레로 만들어 음식으로 섭취하기
※ 강황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Tip
① 열을 가해서 먹는다.
② 후추와 함께 먹는다.
③ 양질의 지방과 함께 먹는다
ex) 우유, 견과류, 올리브유
강황 섭취 시 주의해야 할 경우
1. 수술 예정인 경우
지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당뇨약을 복용 중인 경우
이중으로 혈당 수치를 낮춰 저혈당이 될 수 있습니다.
3.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
카페인처럼 중추신경을 자극해 농축된 형태의 영양제로 된 커큐민은 저녁시간엔 자제하길 권장합니다.
4. 임산부인 경우
자궁수축을 유발 유산의 위험이 있습니다.
5. 담석으로 인한 담 통이 있는 경우
6. 혈액 항응고제 처방약을 복용하는 경우
※ 시중에 나와있는 카레가루로 영양 카레 만드는 Tip
① 표기된 조리방법으로 요리하되 각종 재료를 볶은 다음 물은 붓고 끓이는 단계에서 물 대신 믹서기로 토마토를 간 물로 끓여준다.
→ 맛이 풍부해지고 진한 풍미를 느낄 수 있다.
② 카레 가루를 넣고 끓이는 마지막 단계에서 우유 5~7 스푼을 넣어준다.
→ 맛이 부드러워지고 강황의 흡수율 Up!
아무리 강황이 좋다 해도 각자 몸상태에 맞지 않으면 먹지 않는 것보다 못합니다.
다량의 강황가루를 음식에 넣거나 차로 우려먹거나 영양제로 농축된 커큐민을 먹는 경우 섭취상 주의를 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열을 가해 카레로 만들어 섭취하는 것이 흡수율 면에서도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기 힘든 고통 가려움증 원인, 예방, 치료법 (0) | 2022.11.05 |
---|---|
여성 배뇨장애! 요실금과 방광질환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10.31 |
복식호흡으로 건강해지는 방법 및 효과와 방해 요소 (0) | 2022.10.24 |
충치치료시 충치 크기에 따른 보철 재료 알아보기 (0) | 2022.10.09 |
시력교정술의 원리 및 종류와 장단점 비교하기 (0) | 2022.10.06 |
댓글